Post

거시경제학 국가간의 금리 인상, 인하 효과 및 배경

거시경제학 국가간의 금리 인상, 인하 효과 및 배경

금리란 무엇인가요?

금리(쉽게 말해 ‘이자’)는 예금금리(수신금리)와 대출금리(여신금리)로 나뉩니다.

  • 예금금리는 은행 등에 돈을 맡겼을 때 받는 이자를 의미합니다.
  • 대출금리는 돈을 빌릴 때 부담해야 하는 이자율로, 예금 이외의 자금 지출 행위에 적용됩니다.

1. 금리 인상

금리 인상의 효과

금리가 인상되면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모두 상승합니다.

  • 예금금리 상승
    예금을 하면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으므로, 사람들이 예금을 늘리게 됩니다. → 예금 증가

  • 대출금리 상승
    대출 시 부담해야 할 이자가 많아지기 때문에 돈을 빌려 소비하거나 투자하려는 움직임이 줄어듭니다.
    소비·투자 감소

  • 소비·투자 감소의 결과
    경제활동이 둔화되고, 이는 물가 하락(디플레이션)을 초래하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은 억제됩니다.

국제 환율에 미치는 영향

한 나라의 금리가 인상되면, 그 나라의 예금금리가 다른 나라보다 매력적으로 높아집니다.
이에 따라 외국인들이 더 많은 이자를 얻기 위해 그 나라에 돈을 예치하려고 몰려듭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납니다.

  • 해당 국가 화폐에 대한 수요가 증가
  • 그 국가의 화폐 가치 상승
  • 반대로, 다른 나라 화폐의 가치 하락

이를 흔히 “환율 하락”이라고 표현합니다.
환율이란 우리 돈으로 살 수 있는 외국 화폐의 양을 의미하며, 환율이 하락하면 우리 돈의 가치가 상승했다는 뜻입니다.

예시로 보는 환율 변화

시점 환율 (KRW : USD) 설명
2010년 1월 1,000원 = 2달러 (1달러 = 500원) 원화 가치 낮음
2011년 1월 1,000원 = 1달러 (1달러 = 1000원) 원화 가치 상승

즉, 동일한 1달러를 사기 위해 필요한 원화의 양이 늘었다면, 원화의 가치가 높아졌다는 뜻입니다. 동시에, 같은 원화로 살 수 있는 달러의 양이 줄었다면 달러의 가치가 하락한 것입니다.

환율 하락(원화 가치 상승)의 영향

  • 수출품 가격 상승
    원화 가치가 오르면 동일한 달러 기준으로 받을 원화 금액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외국인이 보기엔 한국 상품이 비싸집니다.

  • 수입품 가격 하락
    외국 화폐 가치가 떨어졌기 때문에, 외국 제품을 더 저렴하게 수입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외국인들은 한국 제품을 덜 사게 되고, 한국은 수입을 늘리게 됩니다.

  • 수출 감소, 수입 증가
  • 수출 중심 기업들의 수익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금리 인상의 배경 (이유)

금리를 인상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인플레이션 억제
    물가가 급격히 상승할 때, 금리를 올려 소비와 투자를 줄이고 물가 상승을 진정시킵니다.
    (“물가가 너무 올라 살기가 어렵다”는 상황)

  • 환율 조정
    자국 화폐 가치가 지나치게 낮아졌을 때(환율 상승 시), 화폐 가치를 높이기 위해 금리를 인상합니다.

금리 인상 사례

예를 들어,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다음과 같은 연쇄 효과가 발생합니다.

  • 미국의 예금금리·대출금리 상승
  • 미국의 화폐가치 상승, 즉 미국 달러의 환율 하락
  • 상대적으로 한국 화폐가치 하락 (미국의 화폐 가치가 올랐으므로 예전보다 더 비싸게 원화를 주고 사야함), 즉 한국 원화의 환율 상승
  • 이에 대응해 한국도 금리 인상을 시행하여 환율을 안정시킵니다. (상대 국가의 화폐 가치의 상승에 맞추기 위해 자국의 화폐 가치를 금리 인상으로 상승시킴)

3. 금리 인하의 효과

금리 인하는 금리 인상의 정반대 효과를 냅니다.

  • 예금이자 하락 → 예금 감소
  • 대출이자 하락 → 대출 증가
    (이자가 낮아 빚을 내는 부담이 줄어듦)

투자 및 소비 증가
→ 수요 증가로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 화폐 가치 하락, 즉 환율 상승

결과적으로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은 감소합니다. 이는 무역수지 개선경기 활성화로 이어집니다.

금리 인하 사례

예를 들어,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 미국의 예금금리·대출금리가 하락
  • 미국 화폐가치 하락(미국 달러의 환율 상승)
  • 반대로 한국 화폐가치 상승(한국 원화의 환율 하락)

이 경우, 한국 입장에서는 수출 감소수입 증가가 발생해 무역수지 악화 및 경기 침체 우려가 생깁니다.

이에 따라 한국도 환율을 다시 올리기 위해(원화의 하락을 원래대로 돌려놓기 위해) 금리 인하를 함께 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참고

  • https://md2biz.tistory.com/390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