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화성학: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 (Secondary Dominant 7th) + 조성에 맞게 변화한 믹소리디언 스케일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 (차용화음)
- 논다이어토닉 코드 (Non-diatonic chord)입니다.
- 다이어토닉 코드에서는 긴장-해결 역할을 하는 코드가
V7 ↝ IM7밖에 없습니다. - 단조로워 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다른 키의 도미넌트 코드를 빌려와 긴장-해결감을 줄 수 있는데 이를 세컨더리 도미넌트라고 합니다.
- 다른 키에서 빌려왔기 때문에 ‘차용화음’이라고도 합니다.
- 다이어토닉 코드에서는 긴장-해결 역할을 하는 코드가
예제 1
A7 ↝ Dm7의 도미넌트 모션으로Dm7이 보다 강조됩니다.Key C스케일에 없는C♯(도♯) 음이 사운드에 변화를 줍니다.A7 ↝ Dm7부분만 보면Key Dm의V7 ↝ Im7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키에서 빌려온 것으로 본다)
예제 2
V7 ↝ IM7은 원래 존재하는 도미넌트 모션이기 때문에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VIIm7(-5)에는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근음(root)이 스케일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예를 들어,
Key C에서Bm7(-5)의 도미넌트 코드에 해당하는F#7은F#가 근음으로Key C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 따라서 총
5개의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가 있습니다. II7은 더블 도미넌트라고도 합니다.II7이 도미넌트 모션을 통해V7로 이어지고, 이V7이IM7로 해결됩니다.
표기법
조성의 V7과 구분하기 위해 V7(목적 코드의 V7) / (목적 코드) 로 표기합니다.
- 예:
Key C의A7 ↝ Dm7의 경우V7/II ↝ IIm7로 표기
도표
| Key C | Key F | |||
|---|---|---|---|---|
| 부속7 | 다음코드 | 부속7 | 다음코드 | |
| VI7 | A7 | Dm7 | D7 | G7 |
| VII7 | B7 | Em7 | E7 | Am7 |
| I7 | C7 | FM7 | F7 | B♭M7 |
| II7 | D7 | G7 | G7 | C7 |
| III7 | E7 | Am7 | A7 | Dm7 |
🔊 도표 플레이 Transpose: -+
구체적인 예
Love me tender - Elvis Presley
[audio mp3=”http://yoonbumtae.com/wp-content/uploads/2024/04/Elvis-Presley-Love-Me-Tender-Official-Lyric-Video-02.mp3”][/audio]
조성에 맞게 변화한 믹소리디언 스케일
- 기본적으로 도미넌트 세븐스에서는 믹소리디언 스케일을 어베일러블 노트 스케일(Available Note Scale)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보다 자연스러운 조화를 위해 믹소리디언 스케일에서 비화성음(Non-chord tone)에 해당하는 음들을 현재 조성에 맞춰 평탄화시킬 수 있습니다.
A Mixolydian을Key C에 맞게 변화시키면A Major-minor스케일 (Mixolydian ♭6)이 됩니다.
B Mixolydian을Key C에 맞게 변화시키면B Phrygian Dominant스케일이 됩니다.
E Mixolydian을Key C에 맞게 변화시키면E Phrygian Dominant스케일이 됩니다.
믹소리디언 스케일과 조성의 스케일이 맞는 경우에는 믹소리디언 스케일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 Non-chord tone(빗금친 음표)이 모두
Key C에 존재하는 음들입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