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학: 화음 밖의 음 (Non-chord Tone; 비화성음) [예제 악보 및 듣기 첨부]
화성학: 화음 밖의 음 (Non-chord Tone; 비화성음) [예제 악보 및 듣기 첨부]
화음 밖의 음 (Non-chord Tone)
- 화음에 포함되지 않은 음을 뜻합니다.
비화성음이라고도 합니다.- 클래식 화성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념이며, 재즈화성학에서는 텐션(tension)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종류
(A) 지남음
지자 표시를 붙인 음과 같이 2개의 코드 톤(화성음)을 음계적으로 잇는 비화성음입니다.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X: 1 T: Q: 1/4=120 M: 4/4 L: 1/8 R: 지남음 1 K: C “CM7” e2 f g- g4 | “Am7” c2 d e- e4 | “Dm7” d2 e f- f4 | “G7” d2 c B- B4 | w: ~3 ~지 ~5 | ~3 ~지 ~5 | ~1 ~지 ~3 | ~5 ~지 ~3 | [/abcjs-audio] |
지남음은 두 개 이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시작과 끝이 코드 톤인 경우, 그 사이를 선율적으로 이으면 지남음으로 취급합니다.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4/4 L: 1/8 R: 지남음 2 K: C “CM7” ef^fg- g4 | “Am7” cd^de- e4 | “Dm7” d^def- f4 | “G7” d_dcB- B4 | w: ~3 ~지 ~지 ~5 | ~3 ~지 ~지 ~5 | ~1 ~지 ~지 ~3 | ~5 ~지 ~지 ~3 | [/abcjs-audio] |
(B) 앞꾸밈음
앞자 표시를 붙인 음과 같이 2도 위나 아래로부터 코드 톤으로 진행하는 경우입니다.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4/4 L: 1/8 R: 앞꾸밈음 1 K: C “CM7” z4 dcGE | “Am7” B3A-A4 | “Dm7” z4 ^GAed | “G7” c3B-B4 | w: ~앞 ~1 ~5 ~3 | ~앞 ~1 | ~앞 ~5 ~앞 ~1 | ~앞 ~3 | [/abcjs-audio] |
아래와 같이 두 개나 세 개가 잇달아 나오는 비화성음도 멜로디를 만드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 첫번째, 두번째, 네번째 마디의 앞꾸밈음은 코드 톤
C(1번)의2도 이내에서 진행합니다. - 세번째 마디의 앞꾸밈음은 코드 톤
F(3번)와A(5번)의2도 이내에서 진행합니다.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4/4 L: 1/8 R: 앞꾸밈음 2 K: C “CM7” zBd_d cAGE | “Am7” B^GBAz4 | “Dm7” zeg^f =f^GAc | “G7” da_ag z4 | w: ~7 ~앞 ~앞 ~1 ~6 ~5 ~3 | ~앞 ~앞 ~앞 ~1 | ~앞 ~앞 ~앞 ~3 ~앞 ~5 ~7 | ~5 ~앞 ~앞 ~1 | [/abcjs-audio] |
(C) 도움음
도자 표시를 한 음처럼 코드 톤에서 출발하여 2도 상행 또는 하행하고 다시 원래 높이의 코드 톤으로 돌아올 때 중간 코드 톤을 잇는 음들을 도움음이라고 합니다.
앞꾸밈음이나 도움음이나 코드톤으로 상행하는 것은 반음으로 된 것이 많습니다.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4/4 L: 1/8 R: 도움음 K: C “CM7” zG^FG (3cdc Bc | “Am7” e^deA z4 | “Dm7” zA^GA de^cd | “G7” fefB z4 | w: ~5 ~도 ~5 ~1 ~도 ~1 ~도 ~1 | ~5 ~도 ~5 ~1 | ~5 ~도 ~5 ~1 ~도 ~도 ~1 | ~7 ~도 ~7 ~3 | [/abcjs-audio] |
(D) 걸림음
겉자 표시를 한 음과 같이
- 앞 코드의 코드 톤이 붙임줄(tie)로 다음 코드까지 이어져
- 다음 코드의
밑음,3도음,5도음으로 해결하는 음
입니다.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staves [(1 2) (3 4)] M: 4/4 L: 1/8 R: 걸림음 1 K: C V:1 treble e2 fe d2 g2 | c2 dc B2 e2 | A2 BA G2 e2- | “걸(9th)”e2 “1”dc d4 | V:2 treble c4- c2 B2- | B2 A2- A2 G2- | G2 F2 E4 | ^F4 =F4 | w: _ 걸(sus4)~ 3 | 걸(9th)~ 1 걸(♭13th)~ 3 | 걸(9th)~ 1 V:3 bass G8 | E8 | C8 | C4- “걸(sus4)”C2 “3”B,2 | V:4 bass C4 G,4 | A,4 E,4 | F,4 C,4 | D,4 G,4 | [/abcjs-audio] |
코드진행) C G Am Em F C D7 G7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staves [(1 2) (3 4)] M: 4/4 L: 1/8 R: 걸림음 2 K: C V:1 treble e4- “걸(13th)”e2 “5”d2 | c4- “걸(♭13th)”c2 “5”B2 | A4- “걸(13th)”A2 “5”G2 | F8 | V:2 treble c4 B4- | B2 A2 ^G4 | G2 F2 E4- | E2 D2 ^C2 =C2 | w: _ _ | 걸(9th)~ 1 _ | 앞(9th)~ 1 _ | 걸(9th)~ 1 지 7th V:3 bass G4 F4 | E4 D4 | C4 _B,4 | A,8 | V:4 bass C4 G,4 | A,4 E,4 | F,4 C,4 | D,8 | [/abcjs-audio] |
코드진행) C G7 Am E7 F C7 Dm
보기의 걸림음 및 화음들을 분석하면
3도음으로 해결하는 걸림음은sus4밑음으로 해결하는 걸림음은9th5도음으로 해결하는 걸림음은13th
비화성음의 의의
- 선율을 만들 때 무의식적으로 사용됩니다.
- 되도록 의식하면서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 멜로디 페이크(melody fake)가 숙달될때까지 의식합니다.
예제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C L: 1/4 R: 예제1-A K: C “G7” G | “CM7” c G E G | “Am7” A2 z A | “Dm7” d c A F | “G7” B4 | [/abcjs-audio]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C L: 1/8 R: 예제1-B K: C “G7” zG^FG | “CM7” dcGE D^DEG | “Am7” B2 _BA z A^GA | “Dm7” e_ed_d cAGF | “G7” E_EDB- B4 | w: ~◯ ~도 ~◯ | ~앞 ~◯ ~◯ ~◯ ~앞 ~앞 ~◯ ~◯ | ~앞 ~앞 ~◯ ~◯ ~도 ~◯ | ~앞 ~앞 ~◯ ~지 ~◯ ~◯ ~지 ~◯ | ~앞 ~앞 ~◯ ~◯ | [/abcjs-audio] |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C L: 1/2 R: 예제2-A K: C “C” E2 | “C7” E G | “F” A c | “F#dim” c A | “C/G” G2 | [/abcjs-audio]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C L: 1/8 R: 예제2-B K: C “C” E^DEG z4 | “C7” z ^FGd c_BG^G | “F” A^GAc z4 | “F#dim” zD (3_E^FA dcBA | “C/G” G8 | w: ~◯ ~도 ~◯ ~◯ | 앞 ~◯ ~앞 ~◯ ~◯ ~◯ ~지 | ~◯ ~도 ~◯ ~◯ | ~앞 ~◯ ~◯ ~◯ ~앞 ~◯ 지 ~◯ | ~◯ [/abcjs-audio] |
연습문제
- 각 코드 톤이 몇 도의 음정인지 숫자를 적습니다.
- 비화성음인 경우 다음과 같이 적습니다.
- 지남음은
지 - 앞꾸밈음은
앞 - 도움음은
도 - 걸림음은
걸
- 지남음은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C L: 1/8 R: 연습문제 1 K: C “C6” z e^de fecA | “Am7” c2 de-e4 | “Dm7” z fef gfdA | “G7” efed-d4 | w: ~3 ~도 ~3 ~도 ~3 ~1 ~6 | [/abcjs-audio] |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C L: 1/8 R: 연습문제 2 K: F “F6” (3cdc Bd cAGF | “D7” ^FAcd _ed3 | “Gm7” z _BAc B^FAG | “C7” =F^DEc-c4 | [/abcjs-audio] |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C L: 1/8 R: 연습문제 3 K: G “G6” agdB AGBd | “Bbdim” fe^df e_B3 | “Am7” dc=B=d cEGA | “D7” B2 _BA-A4 | [/abcjs-audio] |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C L: 1/8 R: 연습문제 4 K: Bb “Bb6” z gfA Bed=E | “Gm7” FcB^C DG3 | “Cm7” z de=B c^FGD | “F7” E=B,C=F-F4 | [/abcjs-audio] |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3/4 L: 1/4 R: 연습문제 5 K: Bm “Bm” d c B- | “F#” B ^A f- | “Bm” f e d- | “A” d c a- | “D” a g f- | “Em” f e B | [/abcjs-audio] |
해답 보기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C L: 1/8 R: 연습문제 1 해답 K: C “C6” z e^de fecA | “Am7” c2 de-e4 | “Dm7” z fef gfdA | “G7” efed-d4 | w: ~3 ~도 ~3 ~도 ~3 ~1 ~6 | ~3 ~지 ~5 | ~3 ~도 ~3 ~도 ~3 ~1 ~5 | ~앞 ~7 ~지 ~5 | [/abcjs-audio] |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C L: 1/8 R: 연습문제 2 해답 K: F “F6” (3cdc Bd cAGF | “D7” ^FAcd _ed3 | “Gm7” z _BAc B^FAG | “C7” =F^DEc-c4 | w: ~5 ~도 ~5 ~도 ~6 ~5 ~3 ~지 ~1 | ~3 ~5 ~7 ~1 ~도 ~1 | ~3 ~도 ~도 ~3 ~앞 ~앞 ~1 | ~앞 ~앞 ~3 ~1 | [/abcjs-audio] |
- 세번째 마디의 앞 도움음 2개는 코드 톤
3(B)중간에A와C가2도간격 이내에 있기 때문에도움음으로 취급된다.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C L: 1/8 R: 연습문제 3 해답 K: G “G6” agdB AGBd | “Bbdim” fe^df e_B3 | “Am7” dc=B=d cEGA | “D7” B2 _BA-A4 | w: ~앞 ~1 ~5 ~3 ~지 ~1 ~3 ~5 | ~앞 ~5 ~도 ~도 ~5 ~1 | ~앞 ~3 ~도 ~도 ~3 ~5 ~7 ~1 | ~앞 ~앞 ~5 | [/abcjs-audio] |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C L: 1/8 R: 연습문제 4 해답 K: Bb “Bb6” z gfA Bed=E | “Gm7” FcB^C DG3 | “Cm7” z de=B c^FGD | “F7” E=B,C=F-F4 | w: ~6 ~5 ~앞 ~1 ~앞 ~3 ~앞 | ~7 ~앞 ~3 ~앞 ~5 ~1 | ~앞 ~3 ~앞 ~1 ~앞 ~5 ~앞 | ~7 ~앞 ~5 ~1 | [/abcjs-audio] |
| [abcjs-audio class-paper=”abcjs-paper” animate=”true” options=”{ responsive: ‘resize’,}”] X: 1 T: Q: 1/4=120 M: 3/4 L: 1/4 R: 연습문제 5 K: Bm “Bm” d c B- | “F#” B ^A f- | “Bm” f e d- | “A” d c a- | “D” a g f- | “Em” f e B | w: ~3 ~지 ~1 | ~걸(sus4) ~3 ~1 | ~5 ~지 ~3 | ~걸(sus4) ~3 ~1 | ~5 ~지 ~3 | ~걸(9th) ~1 ~5 | [/abcjs-audio] |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