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에서 ADSR(Attack, Decay, Sustain, Release)란 무엇인가?
음향에서 ADSR(Attack, Decay, Sustain, Release)란 무엇인가?
ADSR
ADSR은 음향에서 **소리의 시간적 변화(Envelope)**를 모델링하기 위한 네 가지 기본 단계를 나타냅니다. 이는 특히 신디사이저, 샘플러, 효과기에서 음의 길이와 강약 변화를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 ADSR: 네 가지 단계
| 약어 | 의미 | 설명 |
|---|---|---|
| A | Attack | 건반을 누른 순간부터 최대 볼륨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 |
| D | Decay | Attack 이후, 소리가 최대치에서 **지속 볼륨(Sustain)**까지 줄어드는 시간 |
| S | Sustain | 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 유지되는 지속적인 볼륨 (시간이 아닌 레벨) |
| R | Release | 키를 뗀 후, 소리가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 |
🎧 각 단계의 실제 효과
🟢 Attack (어택)
- 작을수록: 소리가 바로 나옴 (펀치감, 퍼커션류에 적합)
- 클수록: 소리가 점점 커지며 시작 (스트링, 패드 사운드에 적합)
🟠 Decay (디케이)
- 최대 볼륨에서 Sustain 레벨까지 떨어지는 시간
- 드럼처럼 빠르게 죽는 소리는 짧은 Decay, 피아노처럼 감쇠되는 소리는 중간 Decay 사용
🔵 Sustain (서스테인)
- 소리를 누르고 있는 동안 유지되는 볼륨 수준
- 0에 가까울수록 짧게 끝나는 느낌 / 1에 가까우면 지속됨
🔴 Release (릴리즈)
- 키를 놓은 뒤 소리가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
- 짧을수록 갑자기 꺼지는 느낌 / 길수록 여운이 남음 (리버브처럼)
🧠 ADSR은 왜 중요한가?
- 음색 컨트롤의 핵심 요소입니다.
-
같은 악기 소스도 ADSR 설정에 따라 전혀 다른 감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 빠른 Attack + 짧은 Release → 드럼
- 느린 Attack + 긴 Release → 스트링 패드
- 신디사이저에서는 필터나 볼륨 뿐만 아니라 피치, 모듈레이션 등 다양한 파라미터에 ADSR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 시각적 예 (타임라인 흐름)
1
2
3
4
5
6
7
8
9
볼륨
│ /‾‾‾‾‾‾‾‾‾
│ / \
│ / \
│ / \__________
│ \
│ \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시간
↑A ↑D ←S→ ↑R
🎯 요약
- ADSR은 소리의 생성과 사라짐을 시간적으로 컨트롤하는 4단계
- 악기의 캐릭터, 감정, 반응성을 정하는 중요한 요소
- Attack/Decay/Release는 시간, Sustain은 볼륨 레벨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