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음향: 데시벨(db)이란?

음향: 데시벨(db)이란?

Decibel


🎧 1. dB란 무엇인가요?

▸ “데시벨”은 소리의 크기를 표현하는 단위입니다.

  • 원래 이름은 “벨(Bell)”이었고, 전화기의 발명자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의 이름에서 따왔습니다.
  • 하지만 벨은 너무 큰 단위여서, 실제로는 **1/10 크기인 “데시벨(dB)”**을 사용합니다. → 즉, 1 벨 = 10 dB

✅ 왜 소리를 숫자로 표현해야 하나요?

  • 우리의 귀는 아주 작은 소리부터 굉장히 큰 소리까지 엄청나게 넓은 범위를 들을 수 있습니다.
  • 그런데 이걸 그냥 1, 2, 3으로 표현하면, 너무 급격하게 늘어나거나 너무 작게 보여서 측정하기도, 비교하기도 불편합니다.

🔢 2. 왜 로그(log) 단위를 쓸까요?

▸ 사람은 소리의 “비율”을 인식합니다.

  • 예: ● 1에서 2로 커졌을 때 → “어, 좀 더 크네?” ● 10에서 20으로 커졌을 때 → “어, 또 좀 더 크네?” ▶ 우리는 2배 차이일 때 비슷한 느낌을 받습니다. → 이것이 로그 감각입니다.

✅ 로그는 어떻게 적용되나요?

  • 예: 소리의 에너지가 10배로 커지면 → +10 dB 에너지가 2배로 커지면 → +3 dB (정확히는 약 3.01 dB) 에너지가 절반이 되면 → -3 dB

🎯 즉, dB는 소리의 절대적인 크기보다, 변화의 ‘배율’을 표현하는 단위입니다.


📏 3. 상대값 vs 절대값 dB

dB (상대값)

  • 기준이 없음, 단순히 얼마나 커졌는지/작아졌는지만 말합니다.
  • “이 소리, 6dB 더 키워줘” → 지금 상태보다 6dB만큼 증가시키라는 말.
  • 실무에서 믹싱할 때 가장 많이 쓰는 표현입니다.

dBu, dBV, dB SPL, dBFS 등 (절대값)

  • 기준이 있는 dB입니다. 즉, “얼마나”가 아니라 “몇 볼트인지, 몇 데시벨인지”를 정확히 수치로 표현한 것.
단위 기준값 용도 예시
dBu 0.775V RMS 프로용 오디오 장비
dBV 1V RMS 가정용 오디오 장비
dBm 1mW (600Ω 기준) 구형 전화/오디오 장비
dB SPL 20μPa (마이크 기준 압력) 소리의 실제 크기 (데시벨 측정기)
dBFS 디지털 최대값 (0dBFS = 클리핑) 디지털 오디오 믹싱/마스터링

🎛️ 4. VU 미터 vs 실제 전압

0VU는 진짜 ‘0’이 아닙니다!

  • 오디오 장비에는 흔히 VU 미터라는 눈금계가 있습니다.
  • 이 눈금의 0점은 장비마다 기준이 다릅니다:
장비 종류 0VU 기준 실제 단위 전압(V)
프로용 +4dBu 약 1.23V 고급 장비 (스튜디오 등)
아마추어용 -10dBV 약 0.316V 가정용 오디오, 캠코더 등

🎯 즉, 같은 0VU라고 해도, 어떤 장비에선 더 크고, 어떤 장비에선 더 작게 들릴 수 있습니다. 이게 인터페이스 매칭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 5. dB를 쉽게 이해하는 비유

개념 설명
dB (상대값) “앞으로 3칸만 가!” → 지금 위치에서의 변화량
dBu, dBV 등 (절대값) “지금 너는 정확히 1.23V 위치야” → 정확한 수치 기준

✅ 최종 요약

  • dB: 변화량 (상대 단위) → “지금보다 6dB 키워줘”
  • dBu, dBV: 정확한 기준이 있는 수치 → 장비 연결 시 중요
  • dB SPL: 환경 소음 등 실제 소리의 크기 측정 시 사용
  • dBFS: 디지털 오디오에서 소리 크기의 최댓값 기준 (0이 최고치, 더 크면 클리핑)
  • VU 미터: 장비에 따라 기준이 다르므로 주의 필요

수치 및 변환 예제

아래는 dBu, dBV, dBFS, dB SPL 등의 대표적인 dB 단위들의 수치 예제상호 변환 예제를 상세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수식도 함께 소개하겠습니다.


📐 1. dBu, dBV, dBFS, dB SPL 간단 요약

단위 기준 값 의미 주로 쓰이는 분야
dBu 0.775V (RMS) 전압 기준, 프로 오디오 장비용 믹서, 인터페이스 등
dBV 1V (RMS) 전압 기준, 가정용/소비자 오디오용 CDP, 하이파이 등
dBFS 디지털 최대값 (0dBFS) 디지털의 최대값 기준 DAW, 디지털 믹싱
dB SPL 20μPa 소리의 압력 기준 마이크, 환경 소음계

🧮 2. dBu ↔ 전압 변환 예제

공식:

  • V (RMS) = 0.775 × 10^(dBu / 20)
  • dBu = 20 × log10(V / 0.775)
dBu 전압 (V RMS) 비고
0 dBu 0.775V 기준값
+4 dBu 약 1.23V 프로 오디오 표준
-10 dBu 약 0.245V 약한 신호 수준
+10 dBu 약 2.45V 비교적 강한 신호

🧮 3. dBV ↔ 전압 변환 예제

공식:

  • V (RMS) = 10^(dBV / 20)
  • dBV = 20 × log10(V)
dBV 전압 (V RMS) 비고
0 dBV 1.00V 기준값
-10 dBV 약 0.316V 컨슈머 오디오 표준
+6 dBV 약 2.00V 강한 신호 수준

🔄 4. dBu ↔ dBV 변환 예제

공식:

  • dBV = dBu - 2.21
  • dBu = dBV + 2.21
dBu dBV 설명
+4 dBu +1.79 dBV 프로 오디오 기준 전환값
0 dBu -2.21 dBV  
-10 dBV -7.79 dBu  

🧮 5. dBFS 예제 (디지털 오디오)

  • dBFS는 **디지털 오디오에서 최대치(클리핑 지점)**를 0으로 놓고 상대값을 계산합니다.
  • 일반적으로 0 dBFS가 가장 큰 소리, 그보다 작으면 음량이 낮은 상태입니다.
dBFS 의미
0 dBFS 디지털 최대값 (클리핑 지점)
-6 dBFS 최대값의 약 50%
-12 dBFS 최대값의 약 25%
-18 dBFS 일반적인 믹싱 기준 (헤드룸 확보)
-60 dBFS 아주 약한 신호

🎯 dBFS는 절대값처럼 보이지만 디지털 장비 기준의 상대값이라고 이해하셔도 좋습니다.


🧮 6. dB SPL 예제 (음압)

공식:

  • dB SPL = 20 × log10(P / Pref) 여기서 Pref = 20μPa (2 × 10^-5 Pa) =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
dB SPL 실생활 예시
0 dB SPL 거의 무음 (사람이 간신히 들을 수 있는 소리)
30 dB SPL 속삭임, 아주 조용한 방
60 dB SPL 일반 대화
85 dB SPL 도로 소음, 위험 경계선
100 dB SPL 지하철, 시끄러운 음악
120 dB SPL 귀가 아픈 소리, 통증 시작 지점

🔁 예제 변환 시나리오

🎧 예제 1: +4 dBu는 몇 dBV인가요?

  • dBV = dBu - 2.21 = 4 - 2.21 = 1.79 dBV

🎧 예제 2: 0.316V는 몇 dBu인가요?

  • dBu = 20 × log10(0.316 / 0.775)
  • 계산하면 ≈ -10.2 dBu

🎧 예제 3: -6 dBFS는 dBu로 얼마일까요?

  • 이건 디지털 장비가 아날로그로 변환되는 출력 단계에서만 의미가 있습니다.
  • 예: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준 출력이 0 dBFS = +18 dBu라고 가정하면, → -6 dBFS는 약 +12 dBu에 해당합니다. (이는 장비 설정에 따라 다릅니다)

🧭 참고 팁

  • dBu, dBV는 전압 기반
  • dBm은 전력 기반 (잘 안 쓰임)
  • dBFS는 디지털 최대값 기준
  • dB SPL은 공기의 압력 기반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