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ft: @retroactive 란?
Retroactive 란? 해당 경고는 Swift에서 retroactive conformance(기존 타입에 프로토콜을 채택시키는 것)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것으로, 나중에 AudioKit 라이브러리 자체에서 NodeParameter에 Hashable을 추가하게 되면 중복 충돌이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Extension declares...
Retroactive 란? 해당 경고는 Swift에서 retroactive conformance(기존 타입에 프로토콜을 채택시키는 것)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것으로, 나중에 AudioKit 라이브러리 자체에서 NodeParameter에 Hashable을 추가하게 되면 중복 충돌이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Extension declares...
소개 이번 WWDC25에서 새로운 컨셉의 Liquid Glass 디자인이 발표되었지만, 저는 아무래도 나이가 들어서인지 새로운 디자인이 잘 눈에 들어오지 않고 좋은 디자인이 아닌것 같다고 느꼈습니다. 여러 곳의 반응을 보니, 이렇게 생각하는건 저뿐만은 아니었던것 같습니다. 이번 새로운 디자인 컨셉에 대한 비판글이 여럿 있었고, 그 중 공유해도 좋을 ...
🎉 UltimateScale & StickyPlainPad 최신 업데이트 안내!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음악 학습과 일상을 더욱 편리하게 도와줄 두 앱 UltimateScale과 StickyPlainPad에 대규모 업데이트가 있었습니다.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 UltimateScale – 더 강력해진 스케일 학...
Swift의 some과 any 키워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Swift의 some과 any 키워드에 대해 실무에서 겪을 수 있는 상황들을 포함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키워드는 프로토콜을 다룰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각 다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키워드 도입 역사 먼저 각 키워드가 언제 도입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som...
Peak Limiter 🎚️ 피크 리미터(Peak Limiter)란? 피크 리미터는 오디오 신호의 최대 진폭(peak amplitude)을 강제로 제한(clamp) 하여 지정된 레벨 이상으로 신호가 넘어가지 않도록 막는 효과입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상황에 사용됩니다: 🔊 클리핑 방지: 신호가 너무 커서 디지털 클리핑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
Multi Tap Delay 코드 보기 MultiTapDelayConductor 클래스는 AudioKit을 사용하여 멀티탭 딜레이(Multi-Tap Delay) 효과를 구현하는 Swift 클래스입니다. 여러 개의 지연된 복사본을 입력 신호에 섞어 리듬감 있는 반복 효과나 리버브와 유사한 풍부한 공간감을 만들어냅니다. 📌 클래스 설명 ...
Flanger Flanger는 오디오 이펙트 중 하나로, 짧은 시간 지연(delay)과 지속적인 변조(modulation)를 이용해 스윙감이 있는 웅웅거리는 소리를 만들어내는 효과입니다. 일종의 위상 간섭을 활용하여 음원에 움직임을 부여합니다. 🎛️ Flanger의 역할 지연된 신호를 원래 신호에 더해서 두 신호 간의 위상 차이로 생기는...
https://www.instagram.com/reel/DKjWTity6Jv/?utm_source=ig_web_copy_link&igsh=MzRlODBiNWFlZA== (유튜브에 지브리 음악을 올리면 저작권 차단당하기 때문에 인스타그램으로 봐주세요) 제목: ここが猫の国? 고양이의 보은 OST 13번 트랙 ...
Expander Expander는 작은 소리를 더 작게 만들어서 잡음을 줄이거나, 다이내믹 레인지를 넓히는 데 사용되는 오디오 효과입니다. 압축기(Compressor)와 반대 개념입니다. 아래는 각 파라미터의 역할과 수치 변화에 따른 음향적 효과를 설명한 내용입니다. 🔧 Expander 파라미터 상세 설명 1. Expansion Ratio (...
Delay 음향에서 딜레이(Delay)는 소리를 일정 시간 지연시켜 다시 재생하는 시간 기반 이펙트(time-based effect)입니다. 이는 원래의 소리(dry signal)에 지연된 복제본(wet signal)을 더하여 공간감, 깊이, 리듬감, 반복 효과 등을 만들어냅니다. 딜레이의 기본 개념 입력된 소리를 n 밀리초(또는 초) ...